본문 바로가기

논평/보도자료

[논평] 8년이 된 '용산참사'가 말한다, "여기 사람이 있다"

[논평] 8년이 된 '용산참사'가 말한다, "여기 사람이 있다"


용산참사가 벌어진 지 8년이 되었다. 단군 이래 최대의 개발사업이라 불리던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 사업은 우리 사회가 무엇을 향해 질주하고 있는 것인가라는 질문을 던졌다. 하지만 우리는 아직 그 질문에 대해 답을 제대로 못하고 있다. 어떤 질문이었는가? 그것은 "여기 사람이 있다"는 말이다. '개발' 그 자체가 목적이 되는 물신주의가 가득하고 막대한 개발이익과 이를 얻기 위한 속도전 자체가 미덕이 되었을 때 '인간의 자리'는 어디에 있는가.


남일당 건물에 오른 그 망루에 사람이 있었다. 산산 조각난 철거지역의 부서진 건물에 사람이 있었다. 거대한 기계들이 콘크리트 덩어리를 만들어내는 펜스 저 편에도 사람이 있었다. 노동당 서울시당은 용산참사의 질문 "여기 사람이 있다"는 것은 곧 사람이 있어야 하는 자리에 대한 질문이라 믿는다.

어제 서울시에서 용산참사에 대한 백서가 발간되었나 보다. 하지만 그 백서가 자칫 용산참사를 '일어나지 말았어야 하는 안타까운 일'로만 접근하고 있는지 의문스럽다. 오히려 일어날 수 밖에 없는 일이었고 그 중에서도 최악의 사례로 접근했어야 했다. 그래야, 용산참사가 8년 전의 시간에 갇히지 않는다. 지금도 서울 곳곳에서 강제철거가 진행 중이며, 구청은 무능하고, 경찰은 무책임하다. 따라서 용산참사와 같은 최악의 일이 벌어지지 않았을 뿐 여전히 용산참사의 원인이 되었던 개발 만능주의는 여전하다. 

그동안 노동당서울시당은 서울이라는 대도시에서 용산참사가 질문한 '사람의 자리'를 찾기 위해 끊임없이 투쟁해왔다. 건물주의 탐욕에 무너지는 수많은 상가임차인들, 교모하게 법망을 피해가며 세입자들을 골탕먹이는 재개발조합과 이에 무능한 구청의 행정들, 오히려 철거의 당사자가 됨으로서 스스로의 야만을 증명한 마포구청과 이를 사주한 노웅래 국회의원 같은 이들을 보아왔다. 

정말 용산참사 이후 '사람의 자리'는 만들어졌는가. 여전히 눈이 쌓인 서울 곳곳에서는 제 삶을 지키기 위한 노동자들의 투쟁이 끊이질 않는다. 세종호텔 노동자들, 사회보장정보원 노동자들, 콜트콜텍노동자들, 한남운수 노동자들이 서울 곳곳에서 또 다른 망루를 세워 '여기 사람이 있다'고 외치지 않는가. 그래서 감히 용산참사는 아직 끝나지 않았다고 선언한다. 우리는 아직 용산참사가 던진 "여기 사람이 있다"에 맞는 답을 찾지 못했다. 그런 사회를, 세상을 만들지 못했다. 

노동당서울시당은 그동안 해왔던 대로 용산참사가 물은 '사람의 자리'를 찾기 위해 끊임없이 투쟁할 것이다. 그것이 아직도 끝나지 않은 용산참사에 대한 추모를 끝낼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일테니 말이다. 다시금 참혹한 참사에서 생을 달리한 분들의 명복을 빈다. [끝]